축구 인사이트

[축구전술] 윙백과 풀백의 차이: 포지션 속 전술의 디테일

Demian Soccer 2025. 4. 8. 08:52
728x90

출처ㅣfreepik


축구를 보다 보면 해설자가

"오늘은 윙백이 좋았습니다", "이 팀은 풀백이 공격에 자주 가담하네요"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걸 자주 듣게 됩니다.

겉으로 보기엔 비슷한 포지션 같지만, 사실 윙백(wing-back)풀백(full-back)

전술적으로 꽤나 뚜렷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윙백과 풀백의 차이를 중심으로, 실제 팀 전술과 대표적인 선수들을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1. 포지션의 기본 정의


백 (Full-back)

풀백은 전통적인 4백 수비 라인에서 좌우 측면을 맡는 수비수입니다.

흔히 사용하는 4-4-2, 4-2-3-1 포메이션에서는 왼쪽 풀백(LB), 오른쪽 풀백(RB)이

각각 존재하며, 주요 역할은 상대 윙어의 공격을 차단하고, 필요시 측면 오버래핑을

통해 공격에 가담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는 수비에 더 중심을 두는 포지션이지만,

현대 축구에서는 풀백의 공격 기여도도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윙백 (Wing-back)

윙백은 3백(3-5-2, 3-4-3 등)을 사용하는 팀에서 측면을 맡는 선수들로,

이름 그대로 윙어와 풀백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포지션입니다.

수비 시에는 내려와 5백의 일원이 되며, 공격 시에는 윙어처럼 전방까지 올라가

폭넓은 플레이를 수행합니다. 체력, 스피드, 전술 이해도, 크로스 능력까지

요구되는 다재다능한 포지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전술적 차이

항목 풀백 윙백
주 사용 포메이션 4-4-2, 4-3-3 등 4백 전술 3-5-2, 3-4-3 등 3백 전술
수비 기여도 매우 높음 중간~높음
공격 기여도 중간~높음 매우 높음
포지션 위치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

윙백은 사실상 측면 전체를 혼자서 커버해야 하는 만큼, 체력 소모가 심하고

전술 수행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반면 풀백은 측면 미드필더 또는

윙어와 함께 협력하여 수비 및 공격을 수행하기 때문에,

역할 분담이 비교적 명확한 편입니다.

3. 윙백의 대표적인 팀과 선수: 인터 밀란

윙백을 잘 활용하는 대표적인 팀으로는

이탈리아 세리에 A의 인터 밀란(Inter Milan)이 있습니다.

시모네 인자기 감독 체제에서 인터 밀란은 3-5-2 포메이션을 바탕으로

탄탄한 수비와 빠른 전환 플레이를 구사합니다.

이 전술의 핵심 중 하나가 바로 양쪽 윙백입니다.


덴젤 둠프리스(Denzel Dumfries)
오른쪽 윙백을 맡으며, 강력한 피지컬과직선적인 돌파 능력,
그리고 뛰어난 헤딩능력으로 박스 안에서의 존재감까지 갖춘 선수입니다.
공격 시에는 상대 수비수 뒤 공간을 빠르게 침투하며

득점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인터밀란의 덴젤 둠프리스(출처ㅣ인터밀란 홈페이지)


페데리코 디마르코(Federico Dimarco)
왼쪽 윙백으로 활약하며, 날카로운 왼발 킥과 정확한 크로스,

프리킥 능력을 보유한 선수입니다.

다소 작은 체격이지만, 기술과 지능적인 움직임으로 인터 밀란의 공격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인터밀란의 페데리코 디마르코(출처ㅣ인터밀란 홈페이지)

 

이 둘은 수비 시에는 5백의 일원으로 내려오고, 공격 시에는 측면을 넓히며
윙어 역할까지 수행하는 전형적인 윙백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술적 영향으로 인터밀란의 득점 장면에서는 윙백투 윙백
(반대편 윙백의 어시스트를 받은 윙백의 득점)의 모습을 자주 볼 수가 있습니다.

4. 풀백을 활용하는 대표적인 팀과 선수: 리버풀

풀백의 중요성을 전술적으로 극대화한 대표적인 팀은 리버풀 FC(Liverpool FC)입니다.
특히 위르겐 클롭 감독 체제에서의 리버풀은 4-3-3 포메이션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양쪽 풀백을 공격의 핵심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단순한 수비수의 역할을 넘어서, 볼 전개와 찬스 메이킹에 깊숙이 관여합니다.
이러한 특징은 현 감독인 아르네 슬롯의 전술에서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Trent Alexander-Arnold)
리버풀의 오른쪽 풀백이자, 사실상 ‘플레이메이커 역할’을 수행하는
특수한 유형의 풀백입니다. 정교한 롱패스와 창의적인 빌드업 능력,
세트피스에서의 날카로운 킥력은 리버풀 공격의 중요한 무기입니다.
최근에는 중앙으로 이동해 플레이를 조율하는 ‘인버티드 풀백’ 형태로도 활용되며,
현대 축구 풀백의 전술적 진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선수입니다.

리버풀의 알렉산더 아놀드(출처ㅣ리버풀 홈페이지)

 

앤드류 로버트슨(Andrew Robertson)
왼쪽 풀백을 맡고 있는 로버트슨은 왕성한 활동량과 빠른 오버래핑,
정확한 크로스를 무기로 삼고 있습니다. 수비 집중력과 체력 모두 우수하여,
리버풀의 왼쪽 라인을 든든히 책임지는 동시에 공격 시에는 상대 박스 근처까지
깊숙이 파고들며 득점 찬스를 만들어냅니다.

리버풀의 앤드류 로버트슨(출처ㅣ리버풀 홈페이지)

 

전통적인 풀백의 역할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선수입니다.

이 두 선수는 단순한 수비수라기보다는 ‘공격형 풀백’ 혹은 ‘측면 빌드업의 주축’으로
불릴 만큼, 팀 전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리버풀은 4백 시스템 속에서도 풀백의 역할을 전방위로 확장시키며,
현대 축구에서 측면 수비수의 위상이 얼마나 높아졌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5. 마무리: 포지션의 차이를 이해하면 축구가 더 재밌어진다.

윙백과 풀백은 모두 측면을 책임지는 포지션이지만, 팀의 전술과 시스템에 따라
그 역할과 요구되는 능력치는 분명히 다릅니다.
윙백은 넓은 활동 반경과 전천후 능력을, 풀백은 안정성과 협업 능력을 중시합니다.

인터 밀란의 둠프리스와 디마르코가 윙백의 전형을 보여준다면,
리버풀의 아놀드나 로버트슨은 풀백의 현대적 진화를 보여줍니다.
이처럼 포지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경기의 디테일이 더 잘 보이고,
축구를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728x90